육자결(六字訣)
육자결(六字訣)은 들숨날숨으로 단련(鍛鍊)할 때, 여섯 글자 발음을 고요히 소리내(默讀) 몸을 도인(導引)하는 것과 맞추는 한가지 방법이다. 이 여섯 글자는 噓(xu), 呵(ke), 呼(hu), (si), 吹(chui), (xi)이다. 육자결(六字訣)은 도홍경(陶弘景)이 쓴 『양성연명록(養性延命錄)』에 처음 보이고, 그 뒤 적지 않은 옛 기공(氣功) 책에 이와 비슷한 글이 쓰여 있다. 가장 깊이 있게 쓴 것은 송(宋)나라 때 추박암(鄒樸庵)이 쓴 『태상옥축육자기결(太上玉軸六字氣訣)』이다. 육자결(六字訣)은 원래 날숨을 위주로 하는 정공법(靜功法)인데, 명(明)나라 때 이르러 움직임과 맞추어 놓은 자료가 보인다. 이를테면, 고렴(高濂)이 쓴 『준생팔계(遵生八霜)』, 호문환(胡文煥)이 쓴 『유수요결(類修要訣..
더보기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